졸업요건 : 학부 내규
디자인학부를 졸업하기 위해서는 졸업인증제 규정에 의거하여 정해진 절차에 의한 심사를 통과하여야 하며, 일정한 기준에 도달하여야 졸업요건을 갖추고 졸업을 할 수 있다. 졸업작품 및 시험은 100점 만점 중 70점 이상을 합격으로 하며, 불합격한 자는 이후 학기에 다시 응시할 수 있다.
1) 졸업작품전은 소속 전공의 작품전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자에 한하여 참여 자격을 부여한다. 해당 전공의 작품전을 수행 할 능력을 갖추었는가의 여부는 2학년, 3학년 총 2개년 4학기에 걸쳐 매학기 ‘소속 전공의 과목’을 12학점 이상 이수하고 학기당 두 과목 이상의 과제전시에 참여했는가 여부로 판단한다.
- ‘소속 전공과목’이란 각 전공의 교과목 이수체계도에 포함되어 있는 과목을 의미하며 VD_비주얼디자인전공 전공은 학수번호 VD, LF_라이프스타일디자인전공은 학수번호 CD 로 표기되는 과목을 소속 전공과목으로 인정한다. (단, 현장실습교과목은 전공교과목 4개 안에 포함되지 않음)
2) 4학년은 졸업작품 준비 기간 중에는 각 소속 전공의 전공과목을 반드시 3학점 이상 이수해야 한다. 졸업작품은 졸업예정자(4학년)로서 6월, 9월에 졸업작품 심사를 통과한 후 당해 연도 2학기 졸업작품전에 출품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받을 수 있다.
3) 타 학과(부)를 제 1전공으로 하는 부전공, 복수전공 학생은 디자인학부의 내규를 적용하지 않으며 본인이 소속된 학과(부) 내규를 우선한다.
4) 편입학자는 3학년, 4학년에 한하여 디자인학부 내규를 적용한다.
5) 졸업시험은 4학년 2학기 졸업작품 도록(圖錄) 제출, 전시회 출품이 완료된 학생에 한해 졸업시험을 볼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된다. 졸업시험은 12월 중 기말고사 기간에 실시하며 이력서와 자기소개서를 포함한 포트폴리오 심사로 이루어진다. 졸업시험 대상자는 반드시 ‘졸업작품및시험’과목을 수강신청 해야하며 해당 과목은 “P”(Pass) 또는 “NP”(Non-Pass)로 평가한다. ‘졸업작품및시험’과목은 졸업학점에 산입되지 않고 평점평균 산정에 포함되지 않으나(P학점) 반드시 “P”(Pass)를 받아야 졸업이 가능하다. 심사위원들의 100점 만점 환산 점수 평균 70점 이상을 받은 경우를 “P”(Pass)로 인정한다.
디자인 학부 내 복수전공 졸업요건 : 학부 내규
1) 디자인학부 내에서의 복수전공 학생은 별도의 내규를 적용한다.
2) 디자인학부 내에서의 복수전공자는 주전공의 기획서를 기반으로 복수전공 졸업작품 지도를 받는다.
3) 디자인학부 내에서의 복수전공자는 복수전공하고자 하는 전공의 졸업작품 지도 과목을 3과목 모두 수강하여 지도를 받아 복수전공의 졸업작품을 진행한다.
3) 복수전공 지도교수 3인의 심사에 합격하여야 전시가 가능하며 제작한 복수전공 졸업작품의 전시는 주전공 졸업작품전에 출품하여 전시한다.
4) 졸업시험은 주전공과 동일하게 복수전공 심사위원들의 100점 만점 환산 점수 평균 70점 이상을 받은 경우를 “P”(Pass)로 인정한다. ‘졸업작품및시험’과목의 학부 공통 규정은 다음과 같으며 세부 평가 항목 및 반영비율은 각 전공에서 규정한 바를 따른다.
▣‘졸업작품및시험’과목 학부 공통규정
1. 졸업 포트폴리오는 전공 역량과 진로에 맞는 전공 실습·프로젝트 중심 디자인 수행 능력을 반영하여 제작해야 하며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를 함께 첨부한다.
2. 포트폴리오에는 졸업작품 및 진로 방향에 맞추어 기획한 1개 이상의 신규 프로젝트를 포함한다.
3. 표절·저작권 위반이 발견되면 제출은 무효로 하며 부적격으로 평가한다.



